(글을 시작하기 앞서, 본 연재 글들은 LINE에서 발행하는 공식적인 문서가 아닙니다. LINE 개발팀들의 홍보를 위해 LINE 보안팀에서 업무시간 외에 취미로 작성하고 있고 총 약 10개의 개발팀 소개 글들이 올라올 예정입니다. 😋 )
안녕하세요, LINE+::GrayLab / LINE NEXT::N Security 팀에서 일하고 있는 강흥수입니다. 승진님과 종호님의 글에 이어, 저는 얼마전 설립된 법인인 LINE NEXT에서 개발중인 NFT 플랫폼 개발 포지션을 소개해 드리려 합니다.
요즘 유행하는 말로 MZ와 NFT를 이해하려는 접근 자체가 ‘꼰대'이다, 라는 말이 있는데요, 그래도 나름 보안 업계에서 일을 하다 보니 블록체인을 접할 일이 많이 있는데도 NFT의 광풍에 대해서 이해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쪼렙으로서 감히 설명드리자면, NFT(Non-Fungible Token)는 사전적인 의미로는 ‘대체 불가능 토큰’입니다. 대체 불가능하다는 의미는 ‘대체 가능의 반대’로 이해하면 좋은데요, 원화나 달러 같은 fiat 그리고 BTC나 ETH와 같은 암호화폐는 대체 가능합니다. 즉 제가 가진 1달러 지폐는 다른 사람의 1달러 지폐와 바꿔도 아무런 상관이 없죠.
반면에 NFT는 각 토큰이 모두 고유하고 서로 같지 않습니다 (즉 대체가 불가능합니다).
이 ‘대체 불가능’한 NFT의 속성을 이용해서, 블록체인 상에 비디오나 오디오 같은 특정 파일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의 특성 — 탈 중앙화되어 국가나 기업같은 주체가 마음대로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모든 트랜잭션이 투명하게 보이는 — 을 이용해 NFT위에 기록한 정보는 누군가가 함부로 변경할 수 없고, 누구나 볼 수 있으므로 누가 가장 먼저 등록했는지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원본의 소유권 증명서”로서의 조건을 갖췄다고 할 수 있죠. 파일이란 원래 디스크에 존재하는 이진수일 뿐이지만, NFT 상에 해당 파일의 정보를 최초 소유자가 지정할 방법이 생기면서 ‘파일 원본의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물론 암호화폐의 특성상 온라인으로 매매하거나 심지어 경매에 부칠 수도 있죠.
소유권의 대상은 디지털 파일만이고, (사진 등에서)원본의 소유권은 아닙니다.
이렇게 기술적인 백그라운드는 준비 되었습니다만, 유료 SW와 같은 파일 복사본도 돈주고 사기 아까운 마당에 ‘원본의 소유권‘까지 사고 싶은 경우는 어떤 경우일까요? NFT가 파일 복사를 막아주는 것은 아니므로, 파일 자체를 디스크에 저장하는 것보다 더 큰 의미가 있어야겠죠? 좋아하는 화가나 작가의 작품을 구매하고 싶은 경우, 영화-드라마 관련 컨텐츠를 사고 싶은 경우, 그리고 팬덤 문화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셀럽 관련 아이템을 사는 소위 ‘덕질’하려는 경우가 해당될 것입니다. 단순한 그림 파일이 NFT로 어마어마한 금액에 팔렸다는 소식이 뉴스로 전해지는 등, NFT관련 과열현상이 분명 있으나, 위 예시 같은 수요는 시장성이 이미 존재하는 것이고 이를 NFT로 공급함으로써 건강한 시장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술적인 준비도 되어 있고, 시장성도 충분히 있습니다. 그럼 온라인으로 누구나 NFT 마켓을 열어 아이템을 간편하게 판매할 수 있고, 간편히 재판매 되도록 회원간 매매도 가능한 플랫폼을 만들면 어떨까요? 거기에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K-Drama 및 웹툰 컨텐츠 제작사들, K-Pop 엔터테인먼트 사들, 이미 온라인 마켓이 활성화된 게임사들까지 참여한다면 정말 대중적인 NFT 플랫폼이 되지 않을까요?
LINE NEXT에서 개발중인 NFT 플랫폼 DOSI 프로젝트가 바로 그것입니다. (일본을 제외한) 글로벌 고객을 대상으로 한 마켓 플랫폼으로 기업은 상품 특성에 맞는 브랜드 스토어를 열고, 인디 아티스트 등 개인은 오픈마켓에서 자신의 작품을 판매할 수 있습니다. 보유한 NFT는 재판매도 할 수 있습니다. 간편로그인으로 쉬운 회원가입, 안전한 결제도 지원됩니다. 무엇보다 많은 라인 유저들이 이용중인 라인 게임즈, 웹툰, 제페토 등의 서비스와 다양한 분야 유명 파트너사들의 킬러 컨텐츠가 합쳐져 엄청난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가 됩니다. (참고: 라인 넥스트, 글로벌 NFT 생태계 구축을 위한 파트너사 공개)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화려한 파트너사 라인업을 보라!
파트너사를 둘러보면 아이돌과 셀럽들의 컨텐츠를 가진 엔터테인먼트사들, K-drama/K-movie/K-웹툰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제작사들, DOSI 플랫폼을 아이템/캐릭터/게임화폐 등 게임 내 경제와 연동할 수 있는 게임업체들 등이 있습니다. NFT의 사업 영역은 이 이상으로 확장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위에 LINE이 준비하고 있는 사업뿐만 아니라 패션, 미술, 디지털 자산, 사회적 토큰, 브랜드와 메타버스 등 많은 영역들에 도전할 수 있습니다.
크립토 시장은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몇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메타버스는 결국 소수의 인기 있는 플랫폼 이외에는 모두 도태될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그 이유는, 가상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네트워크의 신뢰도, 무결성, 그리고 외부의 개입 요소가 불가능해야만 유저들이 믿고 쓸 수 있을 거라 생각했고 그 조건을 충족하는 블록체인은 아주 소수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Network effect](https://ko.wikipedia.org/wiki/네트워크_효과#:~:text=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는,영향을 미치는 현상이다.)로 인해 완전히 서로 다른 블록체인, 토큰, 나아가서 NFT까지도 상호 관련이 된 형태로 아래와 같이 비즈니스가 확장되는 사례들을 볼 수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렸지만, LINE의 글로벌 플랫폼과 함께라면 비즈니스를 엄청나게 다양한 방향으로 확장할 수 있을텐데요, 그만큼 기술력도 필요한 상황입니다. LINE NEXT는 위에서 설명드린 기능들을 기획/개발하고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여러 포지션에서 채용을 진행중입니다. 하단의 채용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회사생활을 하며 나쁜 사람을 만나면 가장 큰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고, 좋은 사람을 만나면 떠나지 못하는 이유가 되기도 합니다. 제가 본 라인 동료들은 실력이 뛰어나고 다들 정말 선합니다. 옆에서 본 DOSI 프로젝트 멤버들 역시 화기애애한 분위기에서 바쁘게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 곳에 조인하셔서 좋은 동료들과 재밌는 서비스를 함께 만들어 나가면 좋겠습니다.